초석잠 섭취가 마우스 장내 미생물총과 뇌 기능 개선에 미치는 영향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임선영 | - |
dc.contributor.author | 나은 | - |
dc.date.accessioned | 2020-07-22T04:18:33Z | - |
dc.date.available | 2020-07-22T04:18:33Z | - |
dc.date.issued | 2020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kmou.ac.kr/handle/2014.oak/12422 | - |
dc.identifier.uri | http://kmo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84007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초석잠 섭취가 장내 미생물총 다양성에 미치는 효과와 미생물총 조성 변형이 기억학습능력 관련 뇌 기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4주령 ICR 종의 수컷 마우스 26마리를 각각 대조군과 초석잠을 섭취한 실험군으로 나뉘어 식수와 함께 자유섭취하게 하여 8주 동안 사육하였다. 체중 변화와 식이 섭취 효율에서는 두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고체 한천 배지와 3M Petrifilm을 이용하여 분변의 미생물 조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 초석잠 섭취군의 분변에서 일반 호기성균과 대장균군의 수가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16S rDNA sequencing을 이용한 분변의 미생물 조성 분석 결과, 유해균인 Proteobacteria 문에 속하는 Enterobacteriaceae 과의 E. coli 와 Bacteroides sp. 가 초석잠 섭취군의 분변에서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qPCR을 이용하여 사이토카인 발현을 관찰한 결과 초석잠 섭취군의 장간막 림프절에서 IL-6 와 IL-10 모두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p<0.05). 초석잠 섭취군의 혈청에서는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LDL-콜레스테롤이 유의적으로 대조군에 의해 감소하였고(p<0.05), 간 및 심장조직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초석잠 섭취군의 대장과 분변 조직에서의 지방산 조성은 단쇄지방산(6:0)의 함량이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다. 또한 신경계의 대뇌, 소뇌 및 망막의 지방산 조성은 총 n-6 지방산 함량이 초석잠 섭취군에서 감소하였으며 총 n-3 지방산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마우스의 학습 및 기억력을 측정하기 위해 수동회피테스트를 실시한 결과,실험 첫 번째 날에는 마우스들이 전기쇼크에 대한 경험이 없었기 때문에 대조군과 초석잠 섭취군 모두 latency가 30초 이내로 매우 짧았다. 그러나 두 번째 날에는 초석잠 섭취군의 latency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운동조정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rotarod 시험을 실행한 결과 첫 번째 날에는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두 번째 날과 세 번째 날에는 초석잠 섭취군의 latency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p<0.05). 공간 기억력을 측정하기 위해 Morris water maze를 실시한 결과 초석잠 섭취군과 대조군 사이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초석잠 섭취는 염증성 사이토카인(IL-6) 발현을 감소시키고 장내 유해 미생물군을 감소시켰고 혈중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및 LDL-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출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장내 미생물총 조성 변화는 기억학습능력관련 뇌 기능과 운동조정능력을 개선시켰다. 따라서 꾸준한 초석잠 섭취는 장 건강을 개선시켜 뇌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1. Introduction 1 2. Methods and Materials 5 2.1 Animals and diets 5 2.2 Measurements of fecal microorganisms 7 2.2.1 Agar plate assay 7 2.2.2 3M Petrifilm plate assay 7 2.2.3 Next generation sequencing using 16S rRNA gene sequences 8 2.3 RNA preparation and quantative RT-PCR 9 2.4 Measurements of tissue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HDL and LDL 10 2.5 Analysis of fatty acid composition using gas chromatography 11 2.6 Animal behavioral assay 12 2.6.1 Passive avoidance test 12 2.6.2 Morris water maze test 13 2.6.3 Rotarod performance test 14 2.7 Statistics 15 3. Result and discussion 16 3.1 Effect of S. sieboldii Miq. supplementation on body weight food and ratio of intake food efficiency 16 3.2 Effect of S. sieboldii Miq. supplementation on fecal microorganism composition 18 3.2.1 Changes in fecal beneficial microorganisms 20 3.2.2 Changes in fecal detrimental microorganisms 24 3.3 Effect of S. sieboldii Miq. supplementation on cytokine expression in mesenteric lymph nodes 27 3.3.1 Change in interleukin-6 (IL-6) mRNA expression 27 3.3.2 Change in interleukin-10 (IL-10) mRNA expression 28 3.4 Effect of S. sieboldii Miq. supplementation on tissue lipid profiles 30 3.4.1 Change levels of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HDL and LDL in serum 30 3.4.2 Change levels of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HDL and LDL in heart 31 3.4.3 Change levels of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HDL and LDL in liver 32 3.5 Effect of S. sieboldii Miq. supplementation on fatty acid composition in several tissues and feces 33 3.5.1 Change in fatty acid composition in the serum 33 3.5.2 Change in fatty acid composition in the RBC 35 3.5.3 Change in fatty acid composition in the liver 37 3.5.4 Change in fatty acid composition in the intestine 39 3.5.5 Change in fatty acid composition in the mesenteric lymph nodes 41 3.5.6 Change in fatty acid composition in the heart 43 3.5.7 Change in fatty acid composition in the kidney 45 3.5.8 Change in fatty acid composition in the spleen 47 3.5.9 Change in fatty acid composition in the cortex 49 3.5.10 Change in fatty acid composition in the cerebellum 51 3.5.11 Change in fatty acid composition in the retina 53 3.5.12 Change in fatty acid composition in the feces 55 3.6 Effect of S. sieboldii Miq. supplementation on memory/learning ability 57 3.6.1 Effect of S. sieboldii Miq. supplementation on memory ability 57 3.6.2 Effect of S. sieboldii Miq. supplementation on spatial learning performance 59 3.7 Effect of S. sieboldii Miq. supplementation on motor coordination ability 62 4. Summary and conclusion 64 References 67 | - |
dc.language | kor | - |
dc.publisher |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과학기술전문대학원 | - |
dc.rights | 한국해양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초석잠 섭취가 마우스 장내 미생물총과 뇌 기능 개선에 미치는 영향 | - |
dc.type | Dissertation | - |
dc.date.awarded | 2020. 2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Na Eun | - |
dc.contributor.department | 해양과학기술전문대학원 해양과학기술융합학과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과학기술전문대학원 해양과학기술융합학과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나은. (2020). 초석잠 섭취가 마우스 장내 미생물총과 뇌 기능 개선에 미치는 영향. | - |
dc.subject.keyword | Stachys sieboldii Miq., Microbiome, Pro- and anti-inflammatory cytokines, Brain function, fatty acid composition | - |
dc.title.translated | Effect of Stachys sieboldii Miq. supplementation on gut microbiome and brain function in mice | - |
dc.identifier.holdings | 000000001979▲200000001565▲200000284007▲ | -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